프로그래밍 공부흔적/오류일기3 [Git] 초간단 Git 사용법 깃허브에 들어가서 new repository를 클릭해 새 repository를 만듬 이제 소스트리를 통해 깃허브 원격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의 로컬 저장소로 옮기자 목적자 경로엔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옮길 목적지! 나는 test라는 폴더를 새로 만들어서 했다! 그리고 이름엔 프로젝트의 이름! 이렇게 하면 내 test파일에 깃허브 원격저장소에서 pull(원격저장소에서 내 컴퓨터 로컬저장소로)한게 저장된다. 이번엔 push(내 컴퓨터 로컬저장소에서 깃허브의 원격저장소로 푸쉬하는것)를 해보자 깃허브에서 확인해보면 푸쉬가 된 것을 알 수 있다. 2020. 9. 13. git error(remote:permission to (git주소) denied to 사용자 fatal:unable to access "git 오류의 원인?첫 유저가 글로벌 유저로 등록한 뒤로 또 다른 유저가 다른 아이디로 push를 진행하려고할 경우 위 오류가 발생해결 방법?HTTP 대신 SSH 키 넣기나 제어판-자격증명 관리자-일반자격증명을 편집하는 방법도 있지만 나는 둘다 아무리 머리싸매도 안됐음 그러다 찾은 해결방법은 지금까지 했던게 허무할 정도로 간단했는데, 위 오류는 GITHub가 새 유저를 거부하기에 생기는 오류이므로 내 깃주소에 접근하려고하는 다른 유저의 아이디를 GITHub의 Collaborator로 추가하면 되는것이다. 이렇게 하면 협력자의 깃허브에 등록된 이메일로 메일이 간다. 이메일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은 메일이 와있는데, 위와 같이 하고 깃허브로 돌아가면 협력자가 추가되어있다~~!! 이 상태에서 협력자가 Push를 하니.. 2020. 7. 23. git-원격 저장소 연결 에러(fatal: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) WHY? 갑자기 기존과 다른 정보를 커밋한 후 pull하려고할 경우 관련성이 없다면서 merge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 HOW? 강제로 병합 (터미널로 들어가 git pull origin (branchname) --allow-unrelated-histories을 입력) origin은 어떻게 아느냐? 원격 저장소를 만들 때 원격 저장소의 이름임 이름을 그냥 공백으로 뒀을 경우 origin이 되고 아닐 경우 내가 지은 원격 저장소의 이름( 정 모르겠으면 git remote -v로 원격저장소를 확인하자) branchname은 보통 master 원격저장소에 연결이 되어있는데 안될 경우엔 원격 저장소를 삭제하고 다시 연결해보자 2020. 7. 19. 이전 1 다음